본문 바로가기

질병정보10

폐암의 원인과 증상, 폐암을 진단하는 방법과 치료법 1. 폐암(Lung cancer)의 정의 폐암이라는 것은 문자 그대로 폐에 생긴 악성 종양을 의미합니다. 2018년도의 통계에 따르면 폐암은 전체 암 환자들 중에 약 12%를 차지하는데, 이는 암 발생률 3위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암으로 인한 사망환자의 약 28%가 폐암환자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자보다 남자의 폐암 발생자 수가 2배 이상 높으며, 5년 생존율은 췌장암 다음으로 낮은 편에 속합니다. 그만큼 빨리 발견하여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새로운 치료법과 표적항암제가 개발되면서 5년 생존율은 점점 상승하고 있습니다. 폐는 심장과 함께 가슴 안쪽의 흉강을 구성하는 기관인데, 좌우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폐에 발생하는 암세포의 크기와 형태를 바탕으로 비소세포폐암과 소세포 폐암이라.. 2021. 5. 27.
전립선의 기능과 전립선 비대증 원인, 증상, 치료 방법 1. 전립선의 기능 전립선은 남성에게만 존재하는 기관이며, 방광 아래쪽에 위치하여 요도의 근육을 둘러싸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성인 남성의 전립선은 대략 4~5cm 길이, 20g의 무게의 아주 작은 크기의 기관입니다. 전립선은 정액을 구성하고 있는 전립선액을 분비하는데, 전립선액에는 아연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서 항균작용을 합니다. 그래서 세균으로부터 요로감염을 예방하는 역할을 합니다. 2. 전립선 비대증(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의 정의 전립선 비대증은 50세 이상의 중년 남성들에게 발생하며, 전립선의 크기가 커지는 질환입니다. 남성호르몬과 노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전립선이 커진 환자들 중에서는 소변을 볼때 불편함이 느끼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일상.. 2021. 5. 15.
알레르기성 비염이 발생하는 이유와 증상, 만성 비염 치료하는 방법 1. 알레르기성 비염(allergic rhinitis)이란? 알레르기성 비염은 코에 있는 점막(nasal mucous membrane)에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항원이 접촉했을 때 발생하는 면역반응에 의해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계절성 알레르기성 비염(seasonal allergic rhinitis, SAR)과 통년성 알레르기성 비염(perennial allergic rhinitis, PAR)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계절성 알레르기성 비염은 계절에 따라 유병률이 달라지며, 꽃가루와 같은 알레르기 유발물질들이 많이 나올 때 증상이 나타납니다. 특정 시기에 주로 나타나므로 항히스타민을 복용함으로써 증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통년성 알레르기성 비염은 집먼지진드기, 곰팡이, 동물의 털이나 각질과 같이 계절에 상관.. 2021. 5. 10.
급성 신부전증, 급성 신손상 정의, 병태생리, 원인, 증상, 치료방법 오늘은 급성 신부전증의 정의, 원인과 증상, 어떤 치료방법이 있는지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 급성 신부전증(acute renal failure)의 정의 급성 신부전증은 갑작스럽게 신장의 기능이 떨어지는 질환입니다. 급성 신부전증을 진단하는 기준은 연구단체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주요 지표로 삼는 것은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serum creatinine concentration, Scr)와 혈중 요소질소(blood urea nitrogen, BUN), 그리고 소변량입니다. 기준을 통일하기 위해서 KDIGO(Kidney Disease Improving Global Outcomes)에서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습니다. 48시간 이내에 Scr이 최소 0.3mg/dL 이상 높아지거나, 일주일 전에 측정한 Scr.. 2021. 5. 8.
퇴행성관절염 병태생리, 원인, 증상, 치료방법 퇴행성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 1. 정의 퇴행성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은 관절에 있는 연골이 서서히 닳아 없어지면서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노화현상과 체중에 영향을 받는 질환으로써, 초기에는 비염증성 질환이지만 치료를 받지 않으면 연골의 표면과 관절 경계에 변형이 일어나고 새로운 골이 생성되며 구조적인 변화가 나타납니다. 2. 병태생리 관절의 연골은 관절의 충격을 흡수하고, 윤활작용, 체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합니다. 연골은 탄성력을 가지기 때문에 쉽게 압출될 수 있어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압축을 통해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연골은 수분, 콜라겐, 프로테오글리칸, 히알루론산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다양한 원인에 의해 연골을 구성하는 .. 2021. 5. 5.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 원인과 증상, 진단 방법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원인과 증상, 진단 방법 오늘은 여러 가지 피부 습진 증상 중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에 대해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 아토피성 피부염이란? 아토피는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의해 점막이나 피부에 알레르기 과민반응이 나타나는 질환인데, 알레르기성 천식이나 알레르기 비염도 아토피에 포함됩니다. 남녀 구분 없이 어렸을 때부터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 아토피성 피부염의 원인 아토피성 피부염이 나타나게 되는 발병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는 않습니다만, 건조하고 민감한 피부에 유전적인 원인과 환경요인, 면역반응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무래도 알레르기 반응을.. 2021. 1. 17.
역류성 식도염 증상, 발생 원인 역류성 식도염 증상, 발생 원인 오늘은 소화기계 질환 중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역류성 식도염 증상에 대해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 역류성 식도염(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이란? 역류성 식도염(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은 섭취한 음식이 위와 십이지장에서 식도로 역류하여 식도 점막을 손상시키는 질환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가슴 쓰림인데, 심장병으로 오해하여 병원에서 검사를 해보면 역류성 식도염으로 진단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증상이 발생하였을 때 적절하게 치료를 받지 않는다면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합병증도 생길 수 있으니 병원에 방문하여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 하부식도 괄약근(lower esophag.. 2020. 11. 15.
천식의 증상, 치료 목표, 약물 요법 오늘은 대표적인 호흡기 질환인 천식에 대하여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천식은 알레르기에 의해 기도에 염증이 발생한 질환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기도에 염증이 생기면 기도가 예민해져서 숨쉬기가 힘들어지고, 가슴이 답답하며 천명, 기침 등과 같은 증상들이 발생합니다. 천식은 대부분 5세 미만의 소아일 때 진단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중에서 절반 정도는 성장하면서 증상이 많이 좋아지거나 증상이 없어집니다. 그리고 증상이 없어지지 않는 환자들은 만성적으로 천식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천식 증상 중에 기도폐쇄가 있는데, 기도가 좁아지고 막히는 증상입니다. 천식 증상이 지속된다면 기도가 막히는 증상은 점점 심해질 것이고, 예전처럼 돌아갈 수는 없기 때문에 관리를 잘해야 합니다. 그래서 천식 환자들은 .. 2020. 11. 12.
갑상선의 기능과 갑상선 호르몬이 만들어지는 과정 오늘은 갑상선에서 호르몬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대하여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갑상선은 한자로 갑옷 갑, 형상 상, 샘 선입니다. 말 그대로 갑옷 형상의 샘이라는 것이며, 모양으로부터 이름이 유래되었습니다. ※ 갑상선이란? 갑상선(thyroid gland)은 나비 모양의 내분비 기관인데, 목 안쪽에 있어서 겉으로는 보이지 않고 만져지지 않습니다. 한 쪽 날개의 폭이 대략 2cm이고 높이는 약 5cm 정도이며 무게는 20g 정도인 작고 가벼운 기관입니다. 갑상선의 크기는 크지 않지만 우리 몸의 각종 장기들의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아주 중요한 기관입니다. ※ 갑상선 호르몬의 역할 갑상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소아, 청소년들에게는 정상적으로 성장하고 발달하는데 아주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며, 성인들에게는 대.. 2020. 11. 10.
<고혈압 낮추는 방법>가정용 혈압계로 본인의 혈압 파악해두기 처음 쓰는 글이네요. 가장 흔한 질병 중에 하나인 고혈압에 대해 써보려고 합니다. ※ 혈압이란? 심장에서 내뿜어낸 혈액은 혈관을 타고 온 몸을 이동합니다. 혈액은 혈관벽에 압력을 가하는데, 혈압이라고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동맥에서 혈액의 압력을 의미합니다. 동맥에서 혈압이 계속하여 높다면 고혈압이라고 합니다. ※ 혈압이 높아지는 원인 대부분의 경우는 혈압이 높아진 원인을 알지 못하는데, 이것을 본태성 고혈압이라고 합니다. 본태성 고혈압인 경우가 90% 이상입니다. 나머지 10% 미만의 경우를 2 차성 고혈압이라고 하는데, 다른 질병에 의한 혈압상승이나 약물에 의한 혈압상승과 같이 원인을 알 수 있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 주기적으로 혈압 측정해야 하는 이유 고혈압 환자들은 증상이 없기 때문에 고혈압인지 .. 2020. 1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