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관절염 병태생리, 원인, 증상, 치료방법>
퇴행성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
1. 정의
퇴행성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은 관절에 있는 연골이 서서히 닳아 없어지면서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노화현상과 체중에 영향을 받는 질환으로써, 초기에는 비염증성 질환이지만 치료를 받지 않으면 연골의 표면과 관절 경계에 변형이 일어나고 새로운 골이 생성되며 구조적인 변화가 나타납니다.
2. 병태생리
관절의 연골은 관절의 충격을 흡수하고, 윤활작용, 체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합니다. 연골은 탄성력을 가지기 때문에 쉽게 압출될 수 있어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압축을 통해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연골은 수분, 콜라겐, 프로테오글리칸, 히알루론산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다양한 원인에 의해 연골을 구성하는 단백질들이 파괴되어 손상되는데, 연골의 손상은 관절사이의 간격을 좁게 만들고 통증을 유발하며, 관절 변형을 일으킵니다. 그로 인해 무게를 지탱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연골이 경직되기도 합니다.
3. 원인
퇴행성 관절염의 원인은 여러가지를 꼽을 수 있지만, 가장 흔한 원인으로는 근무환경, 체중, 나이, 외상, 운동 등이 있습니다.
- 근무환경 : 오랫동안 서있거나 무릎을 구부리거나 무거운 물건을 옮기거나 쪼그려 앉는 자세를 반복적으로 취하는 직업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관절염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 체중 : 근육량 대비 체지방량이 과도하게 높은 상태의 비만환자의 경우 무릎의 관절염 발생 확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운동 : 취미활동 이상의 수준으로 관절을 많이 사용하는 운동을 오랫동안 하는 경우에는 관절염의 위험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원인에 의해 연골이 손상되고, 연골이 손상되면 관절의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게 되고 체중을 지탱하지 못하게 됩니다. 결국 관절의 과부하로 인해 퇴행성 관절염이 나타나게 됩니다.
4. 증상
퇴행성 관절염의 대표적인 증상은 관절통인데, 기상직후인 아침에는 증상이 심하지 않다가 오후에 점점 통증이 심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초기에는 비염증성 질환이지만, 질환이 진행되면서 염증성 질환으로 변화합니다. 그로 인해 반복적으로 관절의 통증과 강직 감으로 인해 관절을 움직이기 힘들어집니다. 심한 경우에는 관절에 변형이 일어나 움직일 때 마찰음이 나기도 합니다. 증상이 주로 나타나는 부위로는 무릎과 고관절, 척추, 손목 등이 있으며, 연골이 손상되어 닳아버린 경우에는 관절끼리 부딪히며 심한 통증을 느낍니다.
5. 치료방법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 연골의 퇴행성 변화에 따른 증상이므로, 완전히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하지만 관절의 기능을 유지시키고, 관절의 변형을 줄인다면 통증이 줄어들면서 일상생활을 하는데 무리가 없도록 할 수 있습니다. 환자의 관절상태에 따라서 약물요법이나 수술을 통해 치료할 수 있습니다. 관절염 초기라면 관절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체중감량을 하면서 진통제와 소염제가 포함된 약물요법으로 치료할 수 있으며, 증상이 개선되지 않아서 일상생활에 피해를 줄 정도로 통증이 심하다면 수술을 통해 관절이 변형되는 것을 교정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