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토피 피부염의 발생원인과 증상, 진단 방법
오늘은 여러 가지 피부 습진 증상 중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에 대해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 아토피성 피부염이란?
아토피는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의해 점막이나 피부에 알레르기 과민반응이 나타나는 질환인데, 알레르기성 천식이나 알레르기 비염도 아토피에 포함됩니다. 남녀 구분 없이 어렸을 때부터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 아토피성 피부염의 원인
아토피성 피부염이 나타나게 되는 발병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는 않습니다만, 건조하고 민감한 피부에 유전적인 원인과 환경요인, 면역반응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무래도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환경오염물질들과 피부를 자극하는 물질에 대한 접촉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모유 수유의 감소도 아토피 증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세균 감염, 곰팡이, 담배연기, 동물 각질, 털, 꽃가루, 집먼지 진드기, 음식(우유, 계란, 밀가루, 콩 등)과 같이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아토피 피부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계절에 영향을 받기도 하는데, 여름에는 더위 때문에 땀을 흘리게 되어 가려움이 나타나고 겨울에는 건조한 날씨 때문에 각질이 생겨 가려움이 유발됩니다.
※ 피부의 기능과 아토피 유전자
피부는 외부환경의 감염원과 항원이 우리 몸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하는데, 이런 방어 기능을 하는데 가장 중요한 단백질은 필라그린(filaggrin)입니다. 필라그린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에 변이가 발생하면 피부의 방어 기능이 떨어져 피부가 손상됩니다. 피부가 손상되면, 손상된 부위를 통해 집먼지 진드기, 꽃가루, 세균, 화학물질 등이 침입하여 염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그로 인해 면역글로불린 중 하나인 IgE의 분비를 증가시켜 알레르기 과민반응이 일어나게 됩니다.
※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
아토피성 피부염은 만성적으로 재발되는 습진 증상이며, 영유아부터 성인이 될 때까지 좋아졌다가 나빠짐을 반복하며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질환입니다. 나이에 따라 증상은 차이가 있지만 영유아 시기에 턱과 볼에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피부가 붉어지고 갈라지면서 진물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그러다가 온 몸으로 퍼지게 되는데, 증상이 주로 나타나는 부위는 팔꿈치와 무릎의 안쪽과 같이 피부가 접히는 부분, 얼굴이나 목 주변이며, 습진과 같은 피부염증이 생깁니다.
가려움증이 심하기 때문에 잠든 사이에 자신도 모르게 염증부위를 긁기도 하며, 피부를 심하게 긁게 되면 피가 나고 표피가 떨어져 나가 2차적으로 세균에 의해 감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증상이 훨씬 더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관리를 잘해야 합니다. 이런 증상들이 만성적으로 재발하게 되면 피부의 색소침착, 피부 주름, 피부 부스럼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며 미관상 좋지 않습니다.
※ 아토피 피부염 진단 방법
아토피 피부염을 진단하는 방법은 출생 후 2년 동안 피부염의 발생 유무, 피부 건조함의 정도, 가족력 유무, 피부가 접힌 부위에 피부염이나 피부 주름 유무로 질환을 판단합니다. 그리고 혈액검사를 통해 면역글로불린 중에서 IgE(Immunoglobulin E)의 농도와 호산구 수치를 측정하여 둘 다 높은 경우에 아토피 피부염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