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장의 기능과 요독증 치료제 레나메진 캡슐의 효능, 복용법>
1. 신장은 우리 몸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 신장(kidney)은 강낭콩 모양이며 약 150g의 무게를 가진 주먹 크기만 한 작고 가벼운 장기입니다. 오른쪽, 왼쪽 신장으로 나누어지는데, 배 쪽의 척추를 기준으로 양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 우리 몸을 순환하는 혈액들이 신장으로 들어가서 중요한 영양분들은 흡수시키고 노폐물들을 걸러주는 역할을 합니다. 사구체 주머니에서 소변이 생성되는데, 대사 되고 남은 대사산물들이 세뇨관과 집합관을 통해 소변의 형태로 배설됩니다.
-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renin-angiotensin-aldosterone-system)을 통해 세포외액의 양이 줄어들거나 동맥의 혈액량이 감소하였을 때 혈류량을 조절하거나 신장동맥의 혈압이 떨어지지 않게 유지합니다.
- 외부환경과 신체변화에 대응하여 우리 몸의 기능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것을 항상성이라고 하는데, 신장이 전해질의 흡수와 배설에 관여하여 신체의 산-염기 균형과 전해질의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적혈구를 만들어내는 조혈인자를 통해 빈혈을 예방할 수도 있습니다.
2. 요독증(uremia)의 원인과 증상은?
- 신장에서 걸러진 노폐물들이 소변을 통해 배설되지 못하고 몸에 쌓이게 되면 독성을 일으킵니다. 이것을 요독증이라고 하는데, 신체 여러 조직에 독소들이 쌓이게 되어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요독증을 일으키는 노폐물들이 소변으로 배설되지 못했다는 것은 신장의 기능이 떨어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신장 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신부전 환자들에게 주로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 요독증의 구체적인 증상으로는 붓기, 혼수상태, 근육경련, 빈혈, 전해질과 산염기의 균형이 깨지게 됩니다. 이외에도 전신에 발생하는 증상이 많으며, 신장기능이 떨어지면 우리몸은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없게 됩니다.
- 신부전 환자들은 이미 신장의 기능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소변의 독소를 배출시키는 약물로 치료하는 것이 좋고, 신장기능이 저하되지 않는 환자들은 신장에 부담을 주는 원인들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레나메진캡슐의 약물 기전과 복용법
- 레나메진 캡슐은 구형 흡착탄(spherical adsorptive carbon)입니다. 둥근 모양의 탄소 입자에 구멍이 많이 뚫려 있습니다. 이런 미세한 탄소 입자들이 위장관에서 독성을 일으키는 독소들을 흡착시킨 후 대변으로 빠져나갑니다. 위장관 안에 있는 소화효소는 흡착시키지 않고 독소만 흡착시키기 때문에 신장기능이 떨어져 노폐물을 걸러내지 못하는 한자들에게 발생하는 요독증을 예방할 수 있으며, 만성신부전 환자의 투석을 늦추는데 도움을 줍니다.
- 성인 환자에게 1회 복용할때 구형 흡착탄 2g을 권장하는데, 1 캡슐당 285.7mg가 들어있기 때문에 1회 7 캡슐씩 복용해야 합니다. 나이와 신장기능에 따라 용량은 달라질 수 있으니 처방받은 대로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사와 관계없이 복용할 수 있으나 다른 약물의 흡수를 방해할 수 있으니 다른 약과 간격을 두고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021.05.27 - [질병정보/종양 질환] - 폐암의 원인과 증상, 폐암을 진단하는 방법과 치료법
폐암의 원인과 증상, 폐암을 진단하는 방법과 치료법
<폐암의 원인과 증상, 폐암을 진단하는 방법과 치료법> 1. 폐암(Lung cancer)의 정의 폐암이라는 것은 문자 그대로 폐에 생긴 악성 종양을 의미합니다. 2018년도의 통계에 따르면 폐암은 전체 암 환자
www.gentledrug.com
반응형
'의약품 정보 > 전문의약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수젯정10/5mg 콜레스테롤 낮추는 약의 성분, 효과, 부작용, 복용법 (0) | 2021.08.13 |
---|---|
고칼륨혈증의 증상과 치료제 카리메트 과립의 성분 및 복용법 (0) | 2021.05.24 |
다래끼와 결막염에 사용하는 오큐프록스 안연고 사용법, 성분, 부작용 (0) | 2021.05.19 |
코에 뿌리는 비염약 나조넥스 나잘스프레이 사용법과 성분 (0) | 2021.05.13 |
외이도염의 증상과 귀에 넣는 항생제 에펙신이용액 사용법 (0) | 2021.05.12 |
댓글